라우터는 마치 전기 스위치가 입력단의 전기를 출력단으로 연결하는 것과 같이,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 사이의 연결을 만드는 교환기 이다. 네트워크층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는 패킷이기 떄문에 니트워크 층에서는 단지 패킷 교환만 사용된다.
오늘날 패킷 교환망에서 패킷의 경로를 찾기 위해 데이터그램 방식(datagram approach)과 가상회선방식(virtual-circuit approach)을 사용한다.
1. 데이터그램 방식: 비연결형 서비스
인터넷이 처음 만들어질 때, 간소화를 위해 네트워크층 프로토콜은 모든 패킷을 독립적으로 처리하도록 하였다. 즉, 각 패킷은 어떤 다른 패킷과도 아무 관계를 가지지 않는 비연결형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네트워크층의 기본 개념은 발신지에서 목적지로 패킷을 전달하는 것이었다. 이 방식에서는 메시지의 패킷들이 목적지까지 같은 경로나 혹은 다른 경로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의 장점으로는 단순하다고 할 수 있다. 각각의 라우터들이 알아서 독자적으로 처리해주기 때문에 단순하다.
하지만 단점으로는 처음 송신자에서 원하던 순서대로 도착하지 않을 수 있어 순서 재정립이 필요하다.
2. 가상-회선 방식: 연결형 서비스
가상-회선 방식에서는 한 메시지에 속한 모든 패킷은 연관성이 있다. 한 메시지에 속한 모든 데이터그램이 전송되기 전에, 가상의 연결이 데이터그램들을 위한 경로를 정의하기 위해 설정되어야 한다. 연결이 설정된 후, 데이터그램들은 모두 같은 경로로 전송된다.
이 방식의 장점으로는 송신자가 원하던 순서대로 패킷이 전달되기 때문에 순서를 재 정립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단점으로는 미리 연결회선을 만들어 패킷들이 지나갈 Virtual Circuit을 만들어야한다.
'Study > Network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7.4 IPv4 - (1) (0) | 2023.04.12 |
---|---|
7.3 Performance (0) | 2023.04.11 |
7.1 Services (0) | 2023.04.11 |
TCP/IP Protocol Suite / OSI Model (0) | 2023.04.08 |
Protocol Layering (2) | 2023.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