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Networking (19) 썸네일형 리스트형 TCP/IP Protocol Suite / OSI Model TCP/IP 프로토콜그룹은 5개의 계층으로 정의되어 있다. 각 계층을 간단히 살펴보자면 Physical: 전송 매체 Data link: 가족 안에서의 통신 연결 Network: 각각의 집들을 연결하여 목적지 까지 데이터 전달 Transport: 정보가 정확한지 신뢰성을 검증 Application: 사용자 계층적 구조 3개의 LAN(링크)로 이루어진 작은 인터넷 안의 그룹을 사용하고 하나의 라우터에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컴퓨터 A가 컴퓨터 B와 통신한다고 가정할 때 5개의 장비 (발신지 호스트, 링크1 스위치, 라우터, 링크2 스위치, 목적지 호스트)로 구성되어 있고 양 호스트는 5개의 계층(물리층, 데이터링크층, 네트워크층, 전송층, 응용층)과 관련되어 있다. 라우터는 3개의 계층(물리층, 데이터링.. Protocol Layering 첫 번째 시나리오 공통적인 생각을 가진 이웃인 마리아와 앤 간의 통신 (면-대-면)으로 한 계층에서만 이루어짐) 이 간단한 시나리오에도 따라야 하는 규칙이 있다. 서로 만날 때 인사한다. 친구간에 사용하는 단어를 제한한다. 상대방이 말할 때 경청한다. 대화는 독백이 아니라 대화식이어야 한다. 헤어질 떄 기분 좋은 단어를 교환한다. 두 번째 시나리오 두 번째 시나리오에서 앤이 회사에서 더 높은 직책을 맡게 되어 마리아로부터 멀리 떨어진 도시의 지부로 옮기게 되었다고 가정하자. 그들은 서로 통신하고 아이디어를 교환하기를 원하여 우체국을 통하여 편지를 보내기로한다. 하지만 그들은 편지가 중간에 가로채어 다른 사람이 그들의 아이디어를 도용하지 않기를 원한다. 마리아가 첫 번쨰 문자를 앤에게 전송한다고 가정하자... 데이터 통신 & 네트워크 데이터 통신이란? 전선과 같은 특정 형태의 전송 매체를 통해 두 장치 간에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 데이터 통신의 특성 전달성(delivery) : 정확히 목적지에 데이터 전달 정확성(accuracy) : 데이터를 정확히 전달 적시성(timeliness) : 적정 시간 내에 전달 파형 난조(Jitter) : 음성이나 동영상과 같은 실시간 통신에서 패킷 도착시간의 불일정에 따른 품질 저하 요인 구성 요소 메시지(message) : 통신의 대상이 되는 정보, 즉 데이터 송신자(sender) : 메시지를 보내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 전화기 등등 수신자(receiver) : 메시지를 받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 전화기 등등 전송 매체(transmission medium) : 송신자에서 수신자까지 이동하는 ..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