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

(96)
넘파이(Numpy) - 배열 연산 1. 연산 함수 연산 함수: 배열 내부 연산을 지원하는 함수 축: 배열의 랭크가 증가할 떄 마다 새로운 축이 추가되어 차원 증가 - sum 함수: 각 요소의 합을 반환 In import numpy as np test_array = np.arange(1, 11) test_array.sum() Out 55 - sum함수를 랭크가 2이상인 배열에 적용할 떄 축으로 연산의 방향을 설정 In test_array = np.arange(1,13).reshape(3,4) test_array Out array([[ 1, 2, 3, 4], [ 5, 6, 7, 8], [ 9, 10, 11, 12]]) In test_array.sum(axis=0) Out array([15, 18, 21, 24]) In test_array.s..
넘파이(Numpy) - 배열 객체 다루기 넘파이란? 파이썬의 고성능 과학 계산용 라이브러리 벡터나 행렬 같은 선형대수의 표현법을 코드로 처리 사실상의 표준 라이브러리 다차원 리스트나 크기가 큰 데이터 처리에 유리 넘파이의 특징 속도가 빠르고 메모리 사용이 효율적 반복문을 사용하지 않음 다양한 선형대수 관련 함수 제공 C, C++, 포트란 등 다른 언어와 통합 사용 가능 넘파이 배열 객체 np.array함수를 사용하여 배열 생성 import numpy as np test_array = np.array([1, 4, 5, 8], float) 매개변수 1: 배열 정보 매개변수 2: 넘파이 배열로 표현하려는 데이터 타입 파이썬 리스트와 넘파이 배열의 차이점 텐서 구조에 따라 배열 생성 동적 타이핑 지원 안함 데이터를 메모리에 연속적으로 나열 배열의 생성..
TCP/IP Protocol Suite / OSI Model TCP/IP 프로토콜그룹은 5개의 계층으로 정의되어 있다. 각 계층을 간단히 살펴보자면 Physical: 전송 매체 Data link: 가족 안에서의 통신 연결 Network: 각각의 집들을 연결하여 목적지 까지 데이터 전달 Transport: 정보가 정확한지 신뢰성을 검증 Application: 사용자 계층적 구조 3개의 LAN(링크)로 이루어진 작은 인터넷 안의 그룹을 사용하고 하나의 라우터에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컴퓨터 A가 컴퓨터 B와 통신한다고 가정할 때 5개의 장비 (발신지 호스트, 링크1 스위치, 라우터, 링크2 스위치, 목적지 호스트)로 구성되어 있고 양 호스트는 5개의 계층(물리층, 데이터링크층, 네트워크층, 전송층, 응용층)과 관련되어 있다. 라우터는 3개의 계층(물리층, 데이터링..
Protocol Layering 첫 번째 시나리오 공통적인 생각을 가진 이웃인 마리아와 앤 간의 통신 (면-대-면)으로 한 계층에서만 이루어짐) 이 간단한 시나리오에도 따라야 하는 규칙이 있다. 서로 만날 때 인사한다. 친구간에 사용하는 단어를 제한한다. 상대방이 말할 때 경청한다. 대화는 독백이 아니라 대화식이어야 한다. 헤어질 떄 기분 좋은 단어를 교환한다. 두 번째 시나리오 두 번째 시나리오에서 앤이 회사에서 더 높은 직책을 맡게 되어 마리아로부터 멀리 떨어진 도시의 지부로 옮기게 되었다고 가정하자. 그들은 서로 통신하고 아이디어를 교환하기를 원하여 우체국을 통하여 편지를 보내기로한다. 하지만 그들은 편지가 중간에 가로채어 다른 사람이 그들의 아이디어를 도용하지 않기를 원한다. 마리아가 첫 번쨰 문자를 앤에게 전송한다고 가정하자...
데이터 통신 & 네트워크 데이터 통신이란? 전선과 같은 특정 형태의 전송 매체를 통해 두 장치 간에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 데이터 통신의 특성 전달성(delivery) : 정확히 목적지에 데이터 전달 정확성(accuracy) : 데이터를 정확히 전달 적시성(timeliness) : 적정 시간 내에 전달 파형 난조(Jitter) : 음성이나 동영상과 같은 실시간 통신에서 패킷 도착시간의 불일정에 따른 품질 저하 요인 구성 요소 메시지(message) : 통신의 대상이 되는 정보, 즉 데이터 송신자(sender) : 메시지를 보내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 전화기 등등 수신자(receiver) : 메시지를 받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 전화기 등등 전송 매체(transmission medium) : 송신자에서 수신자까지 이동하는 ..
데이터의 이해 피쳐란? 1. 피쳐의 개념 피쳐(feature): '특성'이나 '특징'이라는 의미 모델을 구성하는데 데이터가 가장 큰 영향을 줌. 모델은 함수 형태로 표현 대표적인 머신러닝의 데이터셋의 예제로 보스턴 집값 예측이라는 데이터셋이 있다. 서로 다른 독립변수 13개를 xn으로 하고 가중치를 B을 선형 결합 하여 나타냄 머신러닝에서 독립변수 x를 피쳐라고 부름 2. 피쳐의 표기법 데이터 테이블(data table): 데이터를 테이플(표)로 표현한 것 데이터 인스턴스(data instance): 하나의 데이터, 튜플(tuple)이라고도 부름 피쳐는 데이터 테이블 상에서 하나의 열 이름(column name)에 해당 하나의 행(row), 즉 튜플의 값은 열 벡터(column vector)로 표현하고, 가중치(wei..
머신러닝의 기초 머신러닝이란? 1. 머신러닝의 시대 알고리즘: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련의 절차나 방법 머신러닝: 기계가 패턴을 학습하여 자동화하는 알고리즘 ex) 유튜브: 개인이 유튜브 영상을 보는 패턴에 대하여 학습하는 프로그램(머신러닝)을 만든 다음 그 패턴(알고리즘)에 맞게 다음 영상을 계속 추천 2. 머신러닝의 사례 인터넷 쇼핑몰 구매 추천 번역 자율주행차 챗봇 3. 머신러닝의 키워드 인공지능: 컴퓨터가 학습하고 생각하여 스스로 판단할 수 있도록 만드는 기술 1956년 다트머스 컨퍼런스에서 '인공지능'이라는 표현을 처음 사용한 이후 본격적인 학문응로서 발전하기 시작 이때 인공지능에 대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는데 여러 시도 중 하나가 머신러닝이다. 머신러닝: 데이터를 컴퓨터에 학습시켜 그 패턴과 규칙을 컴퓨..
Performance 우리가 기계를 고를 때 어떤 부분을 고려하는지 알아보자 먼저 성능이 가장 좋은지를 고려해 볼 수 있고 다음으로는 적절한 비용이 드는지 고려해볼 수 있다. 그렇다면 디자인에서는 어떤 부분을 고려하는가? 향상된 수행능력을 뽐낼 수 있는지 아니면 적은 비용이 드는지를 고려해 볼 수 있다. 두 부분 모두 비교에 근거하여 요구하고 각각의 평가의 기준이 존재한다. 이는 컴퓨터 구조에서도 똑같이 일어난다. Plane DC to Paris Speed Passengers Throughput Boeing 747 6.5 hours 6101 mph 470 286,700 BAD/Sud Concorde 3 hours 1350 mph 132 178,200 예를 들어 두가지의 비행기들 중 더 높은 성능을 내는 비행기가 무엇인지 비교..

728x90